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single cell
- Git
- HTML
- pandas
- Bioinformatics
- scRNAseq
- matplotlib
- drug development
- julia
- single cell rnaseq
- drug muggers
- DataFrame
- cellranger
- ngs
- EdgeR
- MACS2
- python matplotlib
- CUT&RUN
- Batch effect
- 싱글셀 분석
- javascript
- CUTandRUN
- single cell analysis
- github
- ChIPseq
- scRNAseq analysis
- PYTHON
- CSS
- js
- 비타민 C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216)
바이오 대표
Google Colab 세션 runtime은 12시간이고, 90분 이상 비활성화 되어 있으면 끊긴다. 머신러닝 학습을 하다보면, 컴터 놀게 냅두고 90분이상 방치하는데 그럴 때 런타임 연결이 끊기면 ,,, 다 날라간다. 그럴 때 런타임 연결이 끊기지 않게 자동으로 버튼을 눌러주게 하면 된다. Step 1. F12 -> 개발자 도구 -> console Step 2. Javascript code ↓ Javascript code: 30분마다 colab toolbar 버튼을 눌러서 빈 코드 블럭을 자동으로 생성시켜준다 == 나 아직 여기 있어요 끊지마 ㅎ function ClickConnect(){ console.log("Working"); document.querySelector("colab-toolbar-b..
GPU, TPU 등을 Virtual Machine (가상머신)으로 제공 Python, Pytorch, Tensorflow , pandas 등의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음 때문에 Deaap Learning, Machine Learning 및 Data anaylsis 할때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Step 1. Runtime(런타임) -> Chnge runtime type (런타임 유형 변경) Step 2. Hardware accelerator (하드웨어 가속기) -> GPU 선택 -> save (저장) * GPU 사용량 확인
Colab으로 코딩을 돌릴 때, 필요한 파일을 런타임마다 업로드를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. 고로 google drive 에 데이터를 두고 가져오면 편하다. 1. Colab 에서 google drive 와 mount 하기 from google.colab import drive drive.mount('/content/gdrive') 2. 링크를 타고 내 구글 계정과 연결시킬 수 있다. 3. 구글에서 주는 코드를 복사해서 authorization code 입력란에 붙여넣기 하면 google drive 의 메인 /content/gdrive로 연결된다
Block Style 에는 margin, padding, border 이 존재한다 [1] Margin: box의 경계선 '바깥' 공간 Margin 설정 값 예시 margin: 20px 하나 -- > 상 하 좌 우 다 적용 margin: 20px, 15px 둘 --> 상 하 20, 좌 우 15 margin : 20px, 15px, 10px, 5px 넷 --> top, right, bottom, left (시계방향으로) * collapsing margin: body 와 div가 겹치면 margin이 하나가 되어 적용 (상하에서만 발생) [2] padding: box의 경계선부터 '안쪽' 공간 body { padding: 20px; background-color: thistle; } * id 를 이용해서 CS..